[장편소설] 비상도 1-66
“어찌 손가락이 주먹을 이긴단 말입니까?”
급소를 찌르는 힘이 달라야 하기 때문이오!
장편소설「비상도」줄거리
<비상도>는 역사ㆍ영웅 장편소설로 주제는 권선징악이다.
집안 사정으로 인해 뿔뿔이 흩어져 살아야 했던 백남재와 하루아침에 고아가 된 동해는 산으로 들어가 스님(김대한)의 훈육을 받으며 성장한다.
스님은 상해임시정부 요원이면서 독립투사였던 아버지 덕분에 중국 왕가에서만 전해 내려오던 비상권법을 전수받은 고수다.
두 아이는 비상권법이 고려 왕실에서 비밀리에 전해 내려오던 고려국의 무예라는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지만….
“실례가 안 된다면 성함을 여쭈어도 되겠습니까?”
“비상도라 하오.”
모두들 그 자리에서 벌떡 일어났다. 그에 관해서 익히 들어온 바였고 각종 매스컴에서 매일같이 떠들어도 이정도 일 줄은 몰랐던 것이다.
“진작 말씀하셨으면 됐을 것을…….”
사채업 사장의 말이었다.
관장이 자세를 낮추며 두 손을 모았다.
“조금 전에 선생님께서 상대방이 내뻗는 주먹을 같은 주먹으로 맞받아친 것이 아닌 줄 압니다만.”
“보신 그대로입니다.”
모두들 그게 무슨 말이냐는 표정이었다.
“그렇다면…….”
“예. 두 손가락으로 맞받아친 것입니다.”
“아무리 그래도 강하게 들어오는 주먹을 어떻게 손가락으로…….”
“어찌 손가락이 주먹을 이긴단 말입니까?”
도저히 말이 되지 않는다는 듯 한마디씩 내뱉었다. 그것도 십 년 넘게 권투를 해온 사람의 주먹이었다.
“그렇소. 보통의 경우라면 손가락이 주먹을 이길 수는 없소이다. 하지만 그 주먹이 바늘 끝을 쳤다고 생각해 보시오. 사람의 손등에는 합곡이라는 혈, 즉 급소가 있소이다. 그곳을 정확히 찌르기만 하면 덩치가 큰 코끼리라도 넘길 수가 있는 것이오.”
“급소를 찌른다면 손가락의 힘이 주먹의 힘을 능가한다는 말씀입니까?”
“정확할 경우에는 가능한 일이오. 하지만 꼭 그렇지는 않소이다. 급소를 찌르는 힘이 달라야 하기 때문이오.”
도장에 모인 사람들은 그의 말 한 마디 한 마디에 호기심을 나타내며 경청을 하였다.
그때 한 사람이 냉수 한 컵을 비상도에게 내밀었다.
“저 선생님, 저희 도장에 오신 기념으로 시범 하나 부탁드려도 될는지…….”
언젠가 그의 시범 보이는 장면을 TV에서 본 것이 생각났던 것이다.
“이곳의 주인은 관장님이오. 관장님께서 허락해 주신다면 그렇게 하리다.”
자신의 허락을 받겠다는 겸손한 자세였다.
“선생님께서 거추장스럽게 생각하시지 않는다면 저도 가르침을 받겠습니다.”
비상도는 관장에게 목례를 보냈다.
“그럼 동전을 한 컵 모아 주시겠소?”
그는 조금 전에 받아 마셨던 물 컵을 내밀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동전이 비상도에게 건네졌다. (계속…)
다음은 올 1월 갑작스레 고인이 되신 고 변재환 씨의 미발표 유고작품을 그의 가족에게 지적재산권을 위임받아 연재하는 것입니다.
'장편소설 연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부의 승계가 한 몫 차지하고 있었는지도 (0) | 2013.12.31 |
---|---|
“선생님 때문에 속이 후련할 때가 많습니다.” (0) | 2013.12.30 |
“동전을 한 컵 모아 주시겠소?” (0) | 2013.12.27 |
“됐습니다. 저희들이 졌습니다.” (0) | 2013.12.26 |
원금이 오백만원인데 이자가 일억이라... (0) | 2013.12.24 |
원금의 일백배가 넘는 이자를 감당하기엔 무리 (0) | 2013.12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