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중요한 건 외모가 아니라 속까지 닮았냐.”
“번 돈은 혼자서만 갖고 있으면 안 됩니다.”
이외수는 글로도 입으로도 말한다. 그러나 정치적 발언은 삼간다. 그래서 꽃놀이패요, 양수 겹장인 셈이다. 그의 말을 빌려보자.
“한마디 했더니 이제와 쓴 소리 한다고 하대요. 아닌 건 아니라고 말해야죠. 그러나 정치는 중립입니다.”
사실 말이지 이외수의 외양은 볼품없다. 단지, 긴 머리와 콧수염이 인상적인 글쟁이일 뿐이다. 그런데 그의 아내는 그를 부러워한다. “얼굴이 작다.”는 이유였다. 하하~, 묘한 부러움이었다. 어쨌든 그가 타인과 구별되는 건 대체 뭘까?
“중요한 건 외모가 아니라 속까지 닮았냐.”
“선생님. 남들이 제가 선생님과 닮았다 하는데 선생님이 보시기에도 닮았나요?”
“머리와 수염만 닮았다. 중요한 건 외모가 아니라 속(내면)까지 닮았냐 하는 거다.”
역시 이외수였다. 그는 인기작가가 된 이유 대해 “사람들과 다른 시선으로 문제를 보기 때문이다. 똑같이 쓰면 의미가 없다. 독특한 시선이 필요하다.”고 밝혔다. 그러면서 자신이 사는 원칙에 대해 말했다.
“제가 지금까지 낸 책은 다 성공했습니다. 제 책을 낸 출판사는 다 돈을 벌었습니다. 저는 한군데 출판사에서만 책을 출간하지 않습니다. 돌아가면서 냅니다. 출판사를 바꾸는 기준은 10억을 벌었을 때입니다.”
돈벌이를 한 군데에 몰아주지 않는 이유는 같이 먹고 살아야 한다는 ‘상생’으로 읽혔다. 이렇게 살아간다면 길거리를 떠도는 노숙자도 사라질 게다. 그러나 인간은 혼자만, 때론 자기 부류만 잘 살려는 욕심으로 가득 찬 찌질한 동물이다.
상생이 자리잡으면 서울역 앞 노숙자도 사라질 게다.
“번 돈은 혼자서만 갖고 있으면 안 됩니다.”
“방송 출연 차 서울 나들이를 하기도 합니다. 지난 번 출판사는 제 책을 내서 100억여 원을 벌었습니다. 이 출판사는 제가 서울에 뜨면 칙사 대접입니다. 돈을 벌어준 사람에게 대접 안 할 수 없는 거죠.
지난번에는 호텔에서 식사 대접을 하겠대요. 이외수가 호텔에 혼자 가서 밥 먹으면 사람들이 욕할 거 아녜요? 허름한 식당도 아니고 호텔이라니…. 그래서 문하생과 같이 호텔에 가서 식사를 즐겼습니다. 벌었으니 쓰게 해야죠. 번 돈은 혼자서만 갖고 있으면 안 됩니다.”
열심히 노력해 돈을 벌되, 돈의 노예가 되지 마라는 충고였다. 이는 배부른 돼지를 더 선호하는 세상에 대한 일갈이었다. 함께 사는 세상…
난, 어느 쪽일까?
'알콩달콩 문화 이야기 > 책 읽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이런 당근 통할까? 책 한 권 읽는데 100원 (0) | 2010.02.05 |
---|---|
‘내 생애의 아이들’은 어떤 아이들일까? (1) | 2010.01.07 |
<군대 이야기> 호기심으로 피어나다 (1) | 2009.12.12 |
호기심 유발하는 황현의 군대 이야기 (0) | 2009.12.07 |
글쟁이 이외수가 사는 원칙, ‘상생’과 ‘내면’ (1) | 2009.10.29 |
인기작가 이외수가 말하는 ‘진정한 친구’란? (0) | 2009.10.27 |
돈을 벌어도 서로 상생한다는것 배울만 하네요..^^