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녕 <신문 사절>이란 말을 못 알아듣는 걸까?
인터넷의 발달은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.
그 중 하나가 인터넷으로 자신이 보고 싶은 뉴스를 골라보는 탓에 종이 신문 보는 일이 줄었다는 점이다. 하여, 요즘 신문을 종이로 보는 사람이 드물다.
‘굳이 돈 주고 신문 볼 필요 있을까?’
아무리 생각해도 낭비다.
지난해부터 출근하는 사무실에는 여전히 신문을 보고 있다. 그것도 정말 보고 싶지 않은 신문이다. 신문을 보는 이유는 간단하다.
“이런 신문을 아직도 돈 주고 보는 곳이 있네. 이거 끊읍시다.”
“안돼요. 약정이 돼서 안 그러면 위약금 물어야 해요. 신문 하나는 공짜에요.”
기가 차다. 신문을 끊지 못하는 이유는 위약금 때문이다.
서류를 찾아보니 약정기간이 올 1월까지였다. 2월이 되기 전, 신문 배달하는 곳에 전화를 돌렸다. 아무리 해도 전화를 받지 않는다.
도무지 ‘신문 넣지 마세요!’란 말을 건넬 수가 없다. 할 수 있는 일이라곤 <신문사절>을 써 붙이는 것 밖에 없다.
글을 읽지 못하는 걸까.
돈을 안 준다고 해도 계속 신문이 들어온다. 그걸 치우는 시간마저 아깝다.
도대체 신문을 어떻게 끊어야 할지…. 오늘도 출근하면 또 신문이 있을 게다. 그걸 쌓아 놓고 있다. 아무래도 사진 찍어, 고발하는 방법을 써야 할까?
'알콩달콩 세상 이야기 > 함께 고쳐가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중학생이 앉은 버스 의자에 떨어진 담배 보니 (0) | 2013.03.12 |
---|---|
음주운전 면허 취소 후 교통 교육 받아보니 (0) | 2013.03.07 |
이런 신문을 아직도 돈 주고 보는 곳이 있네 (0) | 2013.02.08 |
태풍 볼라벤과 덴빈 사이, 전기 끊겨보니 (1) | 2012.08.31 |
차 타자마자 에어컨 켜는 당신, 암 위험 (16) | 2012.08.09 |
여수박람회 사후활용, 밀실 계획에 '분통' (0) | 2012.07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