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식에게 무엇을 남길 것인가?
삶의 기로에서 독서는 올바른 선택의 ‘힘’
[아버지의 자화상 8] 독서
행복이 어디 그곳에만 있다던가?
금전적 부유함이 있는 아버지가 재산을 사회에 환원하는 건 보다 넓은 의미의 사회를 자식에게 물려주고픈 마음일 것입니다. 이에 반해 금전적 부유함이 덜한 아버지는 정신적 부유함을 물려주는데 주력할 것입니다.
‘자식에게 무얼 남길까?’를 논하기 전에 우선 시(詩) 한 수 읊도록 하겠습니다. 경양식 집에서 본 메뉴 나오기 전, ‘스프’ 정도로 여기시면 좋을 듯합니다. 그럼, 안도현의 <가난하다는 것은>을 감상해 보시죠.
가난하다는 것은
가난은
가난한 사람을 울리지 않는다.
가난하다는 것은
가난하지 않은 사람들보다
오직 한 움큼만 덜 가졌다는 뜻이므로
늘 가슴 한 쪽이 비어 있어
거기에
사랑을 채울 자리를 마련해 두었으므로
사랑하는 이들은
가난을 두려워하지 않는다.
제 삶을 돌이켜 보면, 10대에는 “빨리 나이 먹으면….” 했었습니다. 20대에는 “어떤 직업을 가질까?” 고심했습니다. 30대에 들어서 “가정을 꾸려 어떻게 살 것인가?”가 화두였습니다. 그런데, 벌써 40대 중반에 이르렀습니다.
이실직고 하건대, 10대 때 어른들은 보며 “왜 저렇게 궁색하게 살지?”, “저 나이 먹도록 뭐했지?”란 생각을 가졌습니다. 그런데 살다가 막상 마흔 줄에 앉고 보니 그들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. 사십 즈음에 “삶은 결코 녹록하지 않다”는 것을 알게 된 거죠.
이제 더 이상 늦출 수가 없습니다. 나의 삶, 아내의 삶, 아이들의 삶을 더불어 고민해야 할 때가 된 것입니다. 제 아버지의 세상살이 지론입니다.
그래서일까, 아버지께선 제가 어릴 적부터 책읽기를 강조하였습니다. 간접 경험을 통해 시야를 넓혀 큰 사람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었죠. 그러면서 선택의 기로에서 독서의 역할을 말씀하셨습니다.
아이들이 석류 꽃망울처럼 활짝 피어나기를 준비하시길...
삶의 기로에서 독서는 올바른 선택의 ‘힘’
책 읽기를 통해 알지 못하는 것을 직접 체험처럼 알아야, 삶의 기로에서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. 하지만 당시에는 아버지의 딱딱한 말씀을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. 그러면서 또 덧붙이셨죠.
돌이켜 보면 매우 현명한 지론이었습니다. 아버지의 이런 가르침 덕분에 ‘자식에게 무엇을 남겨줄 것인가?’에 대한 제 고민의 몫은 작아졌습니다. 가르침을 잇기만 하면 되니까요.
“아이는 기다려주지 않는다.” 합니다. 화살 같은 세월 속에 살만할 때가 되면, 아이들은 어느 덧 훌쩍 커, 부모 곁을 떠나려고 할 테니까요. 이미 떠났을지도 모르겠군요. 아직 떠나지 않았다면 더 늦기 전에 자식에게 한 발 다가서면 좋지 않을까요?
바로 지금, 아이들과 함께 도서관에 들러 책을 한 아름 안고 나오는 것도 좋겠지요. 왜냐면 아버지 대신 지혜의 길로 안내해 줄 수도 있기 때문에….
독서는 아이에게 또 다른 삶을 제공할 것입니다.
'알콩달콩 가족 이야기 > 아버지의 자화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앗~ 뜨거, 믿을 놈 하나도 없다? (0) | 2008.07.29 |
---|---|
아이들, ‘일기’ 매일 써야 할까요? (1) | 2008.07.28 |
자식에게 무엇을 남길 것인가? (0) | 2008.07.26 |
“돌산 보리방구 누가 뀌었나?” (0) | 2008.07.23 |
막걸리 주전자는 왜 그리 찌그러졌을까? (0) | 2008.07.20 |
아버지들의 자녀교육은 기다림? (0) | 2008.07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