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야, 뉴스 안 보고 무슨 드라마는 드라마야.”
스트레스 풀기에는 드라마와 오락이 최고!!!
동이(사진 MBC)
대중의 관심사는 온통 유재석과 강호동, 아이돌 등 유명 연예인에게 쏠려 있다. 이들은 심지어 ‘국민’이란 칭호까지 부여받을 정도다.
“야, 뉴스 안 보고 무슨 드라마는 드라마야.”
예전에는 TV에서 드라마와 오락 프로그램 보다 뉴스를 시청했다. 요즘? 완전 변했다. 드라마와 오락 프로그램 위주로 본다. 왜 그럴까?
과거에는 뉴스를 통해 세상 사정을 알았다. 그러나 지금은 TV나 신문이 아니더라도 세상을 훤히 꿰뚫을 수 있다. 정보의 바다 인터넷이 있기 때문이다. TV에서 뉴스를 보질 않고 드라마와 오락을 보는 이유는 또 있다.
첫째, 좋은 소식이 별로 없다.
대부분 각종 비리와 의혹, 사건과 사고 등이 주류를 이룬다. 각박한 세상에 더욱 정 없음을 느끼게 한다. 그래도 달라지지 않는 건 비리 등이 지능화 됐기 때문일 게다.
둘째, 복잡한 게 싫다.
골치 아픈 일이 많아 스트레스가 쌓이는 세상이다. 꽨히 좋지 않은 일로 골머리 썩을 필요 있나? 좋은 게 좋은 것. 나쁜 것보다 즐거운 일을 대하고픈 마음이 굴뚝같다.
셋째, 신간 편한 게 좋다.
공연히 일 만들어 골머리 썩히고 싶지 않다. 부담 없이 보고 웃으면 그만이다. 웃음으로 쌓인 스트레스까지 훌훌 털어버릴 수 있다. 또 대리만족까지 생긴다.
이렇듯 상황은 많이 달라졌다. 사람들이 드라마와 오락에 집중하는 사이 단순화 된 경향이다. 그래서 TV를 바보상자라 부르기도 한다. 하지만 심신 피로를 푸는 한 방법으로 이미 자리 잡은 듯하다.
그래 설까. 한 지인은 주말이면 아이들과 거실에 누워 하루 종일 TV 드라마와 오락 프로그램에 빠진다고 했다. 이유는 간단했다.
“학생들 공부하느라 머리 아파 죽을 지경인데 복잡한 거 볼 필요 있어? 공부로 쌓인 스트레스 풀기엔 웃으면서 볼 수 있는 드라마와 오락이 최고야.”
‘쿨’하고, ‘심플’함을 쫓는 세태를 누가 뭐라 할 수 없다. 그 책임은 복잡한 세상으로 만든 기성세대에게 있지 않을까.
'알콩달콩 문화 이야기 > 영화, TV 등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제빵왕 김탁구, 새롭게 ‘시즌 2’ 제안한다 (0) | 2010.09.21 |
---|---|
‘제빵왕 김탁구’ 종영이 남긴 것은? (2) | 2010.09.18 |
TV, 드라마와 오락프로 보는 이유 (2) | 2010.08.29 |
톡톡 튀는 감초 ‘강유미’, 변신은 무죄 (0) | 2010.08.25 |
<동이>에서 보는 ‘바보’ 노무현의 향기 3가지 (0) | 2010.08.17 |
‘인셉션’, 무한한 상상력을 그린 철학적 영화 (2) | 2010.08.14 |
목포에서 보았으면 좋겠어요.^^*
뉴스도 웃으면서 보는 날이 왔으면 좋겠어요. 너무 큰 기대죠? ^^