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장편소설] 비상도 1-52
언제까지 독도를 노래방에서 배워야 하는지
누가 우리의 역사를 짊어지고 갈 것인가?
장편소설「비상도」줄거리
<비상도>는 역사ㆍ영웅 장편소설로 주제는 권선징악이다.
집안 사정으로 인해 뿔뿔이 흩어져 살아야 했던 백남재와 하루아침에 고아가 된 동해는 산으로 들어가 스님(김대한)의 훈육을 받으며 성장한다.
스님은 상해임시정부 요원이면서 독립투사였던 아버지 덕분에 중국 왕가에서만 전해 내려오던 비상권법을 전수받은 고수다.
두 아이는 비상권법이 고려 왕실에서 비밀리에 전해 내려오던 고려국의 무예라는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지만….
차에서 내린 그가 답답한 마음에 지나가는 학생을 불러 세웠다.
“학생. 몇 학년인가?”
“고3 올라가는데요.”
“요즘 학교에서 국사를 배우나?”
“아뇨.”
“국사 대신에 무슨 과목을 배우지?”
“근현대사요.”
“그럼 근현대사에는 어떤 내용들이 들어있지? 우리 역사에 대한 내용은 전혀 없어? 이를 테면 고구려 백제에 관한 내용이라든지…….”
“그런 거 없는데요.”
“근현대사는 필수과목인가?”
“아니요, 내신 성적 땜에 어쩔 수 없지만 선택 할 수 있거든요. 경제지리 사회문화 세계사 중에서 선택하면 돼요.”
“그렇다면 1학년 때부터 국사라는 과목은 없어?”
“1학년 때에는 배워요.”
“그럼 2,3학년 때부터는 안 배워도 된다는 말인가?”
“예.”
아이들이 국사의 물음에 왜 그렇게 엉뚱한 대답을 했는지 명확해지는 순간이었다. 말 할 수 없는 분노가 온몸을 휘감았다.
우리의 역사를 TV사극을 통해 주워 담아야 하고 박물관에서 눈요깃감으로 구경해야 하는 이 기막힌 현실 앞에 그는 할 말을 잃었다. 언제까지 독도를 노래방에서 배워야 하는지 생각하면 할수록 기가 막혔다.
우리의 역사보다 경제지리가 더 중요하고 세계사가 중요한가, 영어와 국어가 동급을 이루는데 우리의 역사가 과목조차 폐기처분 되었다는 것이 말이나 될 법한 일인가. 이는 우리의 반만년 역사에 대한 모독이요 민족의 자긍심을 스스로 포기하는 수치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었다.
일제가 우리나라의 명산대천에 쇠말뚝을 박은 일과 누군가에 의해 선대와 후대의 맥을 끊은 이 같은 행위가 과연 무엇이 다르다 할 수 있는가. 왜 일본이 그렇게도 깎아내리려 했던 우리의 유구한 역사를 왜 우리 스스로 폐기 하였는가.
그것은 분서갱유(焚書坑儒)가 분명하였다. 누군가의 농간과 계략이 없고서는 불가능한 일이었다.
“과연 누구란 말인가?”
이 땅의 많은 역사학자들은 그동안 무얼 하고 있었는가를 반문하며 비상도는 치를 떨었다.
배우는 자가 없으면 가르치는 자가 없어지는 것은 당연하다. 몇 백 년 후, 아니 몇 십 년 후일 수도 있었다. 그때는 누가 우리의 역사를 짊어지고 갈 것인가?
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식으로 독도를 일본에 빼앗기고 저 북한 땅을 중국에 내어준 후에 또 호들갑을 떨며 내 탓 네 탓을 하며 책임전가만 하려들 것인가.
알지 못하면 빼앗기고 관심이 없으면 놓치게 되는 것은 삶의 이치이다. 인성교육을 없애 버릇없는 아이들을 만들어 놓더니 이제는 국사를 없애 혼이 없는 아이들을 만들었다.
“다음은 무엇인가? 국어인가?”
그가 이 문제로 속을 끓이고 있을 때 휴대폰이 울렸다. (계속…)

다음은 올 1월 갑작스레 고인이 되신 고 변재환 씨의 미발표 유고작품을 그의 가족에게 지적재산권을 위임받아 연재하는 것입니다.
댓글을 달아 주세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