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경남 합천 맛집] 황태요리 - 황태촌
“황태는 눈 속 덕장에서 말려야 제 맛이야!”

처음 맛보는 황태전골입니다.
“경상도 음식은 맛없다.”
전라도 사람들이 자주 하는 말입니다.
하지만 경상도 곳곳에서 음식을 먹어 본 바로는, 이 말?
이젠 옛말이 되었음을 실감합니다.
하여, 자주 경상도 여행을 다녀 본 사람들은 이런 의견입니다.
“전국의 맛이 평준화 되었다. 옛날 경상도 음식이 아니다.”
상향 평준화? 하향 평준화? 이걸 따지는 건 무의미합니다.
개성 강한 음식점이 많으니까. 오늘 소개할 요리는 ‘황태’입니다.
지난 15~16일, 경남 합천이 초청하고 경남도민일보의 갱상도문화공동체 ‘해딴에’가 주관한 1박2일 블로거 팸 투어가 있었습니다.
여기에서 들렀던 곳이 합천의 ‘황태촌’입니다.
경남도민일보가 권하는 맛집은 배신이 없습니다.

황태전골 기본상차림입니다.

황태촌입니다.

무슨 맛일까? 궁금증이 일었습니다.
황태 국물을 입에 넣었더니, 그 맛이…
황태 전골이 보글보글 끓었습니다.
여수에선 좀처럼 맛보기 힘든 황태 음식이라 맛에 대한 궁금증이 엄청 났습니다.
숟갈을 들어 국물 맛을 보려는 순간, 멈칫했습니다.
아, 글쎄~. 옆에 있던 강원도 태생인 한사 정덕수 시인이 한 마디 하지 뭡니까.
“황태의 본고장은 강원돈데, 합천에도 황태 요리가 있네.”
이 말을 듣고 나니 먼저 숟가락 담글 생각이 싹 사라졌습니다.
차분히 정 시인의 국물 맛에 대한 평가를 기다렸습니다.
본 고장 사람에 대한 예의입지요.
“괜~ 찮네~~.”
언제 기다렸냐는 듯 숟가락을 놀렸습니다.
호호 불어 황태 국물을 입에 넣었습니다.
시원하고 칼칼한 게 꽤 맛났습니다.
소주 생각이 절로 났습니다.
김용택 선생님이 말아주신 소주와 맥주 폭탄주 한 모금으로 입안을 씻은 후 다시 국물을 삼켰습니다.
시원, 칼칼한 맛 그대로였습니다. 전라도 음식과 대적할 만 했습니다.

양념 황태구이.

황태껍질 튀김.

보라미랑 님의 사진찍기 배려입니다. 해 봤다 이거지요...
“황태는 눈 속 덕장에서 말려야 제 맛이야!”
앗, 황태찜과 구이가 연이어 나왔습니다.
그러고 보니 황태란 황태는 죄다 모였습니다.
게다가 황태껍질 말려 튀긴 반찬까지 있으니 황태들의 곗날처럼 느껴졌습니다.
정 시인에게 맛 품평을 요청했습니다.
“요리 잘했네. 그렇지만 강원도 황태덕장에서 말린 쫄깃한 맛보다 덜 해. 황태는 눈 속 덕장에서 말려야 제 맛이야.”
제기랄. 황태덕장에서 말린 황태 맛 좀 보게, 한 번 보내주기나 할 것이지….
고향 사랑이 묻어났습니다.
황태찜은 아구찜과 비슷하게 콩나물과 어울렸습니다.
빨간 양념이 듬뿍 묻은 황태구이는 눈을 자극했습니다.
매콤, 새콤, 담백했습니다. 여수 사람에겐 신선했다고나 할까.
정 시인이 황태 요리 구경조차 못한 여수 놈에게 맛있게 먹으라며 잘라 주었습니다.
까칠한 정 시인에게 이런 면이 있으리라곤 생각 못했던 탓일까, 황태가 더욱 맛깔스러웠습니다.
두 말하면 잔소리. 음식은 역시 ‘정’입니다.

김용택 선생님이 홀린 듯 황태를 보고 있습니다.

한사 정덕수 시인이 황태구이를 잘르고 있습니다.

황태찜입니다. 아구찜과 비슷하대요.
댓글을 달아 주세요